2025~2027년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7만 1천 호 공급 예정
서울시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2025~2027년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을 공개하며, 차질 없는 공급을 위해 주택공급 계획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26년까지 서울 시내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7만 1,000호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2023~2024년 입주 물량(6만 9,000호)보다 증가한 수치로, 서울시는 적기에 주택을 공급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2025년 주요 입주 예정 단지, 공급 증가 요인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1. 2025~2026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분석
서울시는 안정적인 주택 공급을 위해 매년 아파트 입주 물량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 연도별 입주 예정 물량
구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합계(2023~2026년) |
아파트 총합 | 35,815호 | 32,672호 | 46,780호 | 24,462호 | 139,729호 |
정비사업 (재개발·재건축 등) | 25,652호 | 19,923호 | 32,172호 | 12,644호 | 90,391호 |
비정비사업 (공공주택, 청년주택 등) | 10,163호 | 12,749호 | 14,608호 | 11,818호 | 49,338호 |
✅ 2025년 주요 특징
- 총 4만 7,000호 입주 예정 (정비사업 3만 2,000호, 비정비사업 1만 5,000호)
-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에 집중 (약 30.9% 차지)
- 대규모 단지 입주: 메이플자이(3,307호), 잠실래미안아이파크(2,678호) 등
✅ 2026년 주요 특징
- 총 2만 4,000호 입주 예정 (정비사업 1만 3,000호, 비정비사업 1만 1,000호)
- 전년 대비 입주 물량 감소, 그러나 지속적인 공급 유지
서울시는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입주 물량을 꾸준히 공급하고 있으며, 2027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주택공급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2. 2025년 서울 주요 입주 예정 아파트 단지
서울 각 지역에서 다양한 신축 아파트가 입주할 예정이며,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및 강동구의 신규 공급이 집중될 전망입니다.
✅ 강남권 주요 입주 단지
자치구 | 단지명 | 입주 예정 세대수 | 입주 예정월 |
강남구 | 청담르엘 | 1,261세대 | 11월 |
아크로삼성 | 419세대 | 2월 | |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 | 282세대 | 8월 | |
도곡 더써밋타워 | 209세대 | 5월 | |
서초구 | 메이플자이 | 3,307세대 | 6월 |
래미안원페를라 | 1,097세대 | 11월 | |
오티에르반포 | 251세대 | 10월 | |
송파구 | 잠실르엘 | 1,865세대 | 12월 |
잠실래미안아이파크 | 2,678세대 | 12월 | |
잠실더샵루벤 | 327세대 | 4월 | |
강동구 | 고덕강일 2BL(제로에너지아파트) | 697세대 | 5월 |
더샵강동센트럴시티 |
✅ 입주 시기와 주의할 점
- 신축 아파트 입주는 입주월부터 6개월 내외로 순차 진행됩니다.
- 계약자는 입주 일정에 맞춰 잔금 납부, 전월세 계약, 인테리어 준비 등을 철저히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2027년 이후 서울 아파트 공급 전망
서울시는 2027년 이후에도 지속적인 주택공급을 계획하고 있으며, 정비사업과 비정비사업을 병행하여 신규 아파트 공급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2027년 예상 입주 물량
- 현재 확정된 물량만 2만 3,000호
- 정비사업이 추가될 경우, 연평균 2만 5,000호 수준까지 공급 가능
✅ 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 변화
- 용적률 완화
- 제2·3종 일반주거지역 내 용적률을 한시적으로 250~300%까지 상향 조정
- 소규모 정비사업도 적용 대상에 포함 → 재건축·재개발 사업 활성화
- 정비사업 공정 관리 강화
- 현재 서울시 내 정비사업 착공 구역 62곳의 진행 속도 점검
- 공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 진행
- 주택공급 촉진을 위한 인허가 간소화
- 일반 건축허가, 소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절차 단축
-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신속한 공급 추진
이러한 정책 변화로 인해, 2027년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 공급 물량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서울시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서울시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불법 투기 및 시장 교란 행위를 적극 단속하고 있습니다.
✅ 현장점검반 투입
-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및 마포·용산·성동구 등 투기 의심 지역 집중 점검
- 불법 거래, 다운계약서, 편법 증여 적발 시 수사 의뢰 및 국세청 통보
✅ 주택시장 모니터링 강화
- 매일 거래 및 가격 동향 분석
- 급격한 가격 변동이 있는 지역은 즉시 조사 및 대응
서울시는 이러한 강력한 규제를 통해 주택시장 교란을 방지하고, 실수요자를 보호하는 데 집중할 계획입니다.
5. 마무리: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정리
📌 2025~2026년 서울 아파트 입주 전망
✅ 7만 1,000호 공급 예정
✅ 강남권 대규모 단지 입주 집중
✅ 2027년 이후 공급 확대 가능성 높음
📌 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
✅ 용적률 완화 및 정비사업 활성화
✅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지속 추진
서울시는 꾸준한 주택공급과 강력한 시장 안정 대책을 통해 주택시장을 관리할 계획입니다. 앞으로의 서울 아파트 시장을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