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by bada365 2025. 3. 14.

 

 

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 2025년 신청 방법 및 혜택 총정리

서울시는 장애인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을 2025년에도 확대 시행합니다. 특히, 저소득 장애인 200가구를 대상으로 화장실 개조, 단차 제거, 싱크대·세면대 높이 조정 등의 소규모 집수리를 지원하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잔고장 수리 서비스도 함께 제공합니다.

2024년보다 2배 확대된 규모로 지원되는 이번 사업기준중위소득 65% 이하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장애 유형에 맞춰 맞춤형 편의시설을 설치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주요 지원 내용 및 유의사항까지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제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이란?

서울시는 장애인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2009년부터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을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장애인 가구의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화장실 개조, 현관 경사로 설치, 싱크대·세면대 높이 조정, 에너지 효율 시공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또한, **가정 내 작은 수리(LED 전등 교체, 방충망 보수 등)**가 어려운 시각장애인을 위해 ‘장집사’ 앱을 통한 잔고장 수리 서비스도 함께 운영됩니다.

📌 2025년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 개요

대상: 기준중위소득 65% 이하 장애인 가구 (임차 가구 포함)

지원 규모: 총 200가구 지원 (2024년 대비 2배 증가)

신청 기간: 2025년 3월 28일(금)까지

신청 방법: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수행기관: 사회복지법인 따뜻한동행

📢 임차 가구도 지원 가능!주택 소유자의 집수리 공사 동의를 받으면 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주택 소유자는 시공 후 1년 이상 장애인이 거주하는 것에 동의해야 합니다.


2.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 내용

📌 ① 장애 유형별 맞춤형 집수리 지원 (200가구 대상)

✅ 주요 지원 항목

🔹 화장실 개조 (단차 제거, 안전 손잡이 설치 등)

🔹 현관 경사로 및 안전 손잡이 설치

🔹 싱크대·세면대 높이 조정 (휠체어 사용자 맞춤형 조정)

🔹 에너지 효율 시공 (단열 시공, 창호 교체 등)

🔹 디지털 리모컨 도어록, 화재감지기 설치

📢 2025년부터 IoT(사물인터넷) 기기 지원도 확대!2024년에는 5가구에만 지원되었지만, 2025년에는 10가구로 확대되어📌 음성인식·앱 제어 조명, 스마트 블라인드, 스마트 홈 카메라 등이 지원됩니다.

📢 기준중위소득 50~65% 구간 장애인 가구도 신청 가능!단, 개조비의 30%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 ② 시각장애인을 위한 잔고장 수리 서비스 (‘장집사’ 앱 활용, 600명 지원)

시각장애인은 집 내부의 간단한 수리를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이에 따라 서울시는 ‘장집사’ 앱을 통해 600명을 대상으로 잔고장 수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지원 항목

🔹 LED 전등 교체

🔹 방충망 보수, 현관문 경첩·수전 교체

🔹 디지털 도어록 및 안전바 설치

📢 신청 방법

‘장집사’ 앱 다운로드 후 신청 가능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

전화 신청:070-7118-2090

연말까지 상시 신청 가능 (예산 소진 시 종료)

📌 추가 요금 발생 시 본인 부담 (기본 지원 한도 15만 원)

📌 가족, 활동보조인, 사회복지사도 대리 신청 가능


3. 신청 방법 및 절차 안내

📢 📅 신청 기한: 2025년 3월 28일(금)까지

📌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신청 방법

1️⃣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서 제출

2️⃣ 4월 중 수행기관(따뜻한동행)의 현장 실사 진행

3️⃣ 5월 자문회의를 통해 지원 가구 선정

4️⃣ 6~10월 집수리 공사 진행 (평균 340만 원 지원)

5️⃣ 11월 보완 공사 및 수혜자 만족도 조사 진행

📢 신청 시 준비할 서류

✅ 장애인 등록증 또는 복지카드 사본

✅ 주민등록등본 (임차 가구의 경우 주택 소유주의 동의서 필요)


4.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의 효과

📢 2024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 결과

집수리 전 평균 만족도: 36점

집수리 후 평균 만족도: 84점으로 대폭 상승

📌 지원 사례김○○ 씨 (36세, 장애인 가구)

  • 경사로 설치, 화장실 단차 제거, IoT 기기(스마트 홈 카메라) 지원
  • “침대에서 조명 조절이 가능해졌고, 혼자서도 생활이 편해졌다”

📢 2024년 시각장애인 잔고장 수리 서비스 만족도 96%!

  • 총 1,569건 (719가구) 지원
  • LED 전등 교체 (261건), 수전 교체 (184건), 방충망 보수 (178건) 순으로 많이 이용

5.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2025년에는 2배 확대 지원!

장애 유형별 맞춤형 집수리 지원 (200가구)

시각장애인 잔고장 수리 서비스 (600명 지원)

IoT 기기 지원 가구 2배 확대 (5가구 → 10가구)

2024년 대비 2배 확대된 지원 규모!

📢 2025년 3월 28일까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 문의: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02-2133-7460

🔗 ‘장집사’ 앱을 통해 시각장애인 잔고장 수리 신청 가능

장애인 맞춤형 집수리 지원사업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만들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