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노인 백내장 수술비 지원 가이드 및 신청 방법 총정리

by bada365 2025. 2. 23.

 

1. 노인 백내장 수술비 지원 제도란?

백내장은 고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안과 질환 중 하나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시력 회복을 돕기 위해 노인 백내장 수술비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지원 대상과 혜택이 확대되어 더 많은 어르신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2025년 노인 백내장 수술비 지원 대상

백내장 수술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연령 기준

  • 60세 이상(1965년 이전 출생자)
  • 일부 지역에서는 만 65세 이상으로 제한될 수 있음

(2) 소득 기준

  •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가능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은 소득 기준과 무관하게 지원

■ 2025년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20% (예상 기준)

가구원 기준 중위소득 120%
1 가구 2,870,000
2 가구 4,784,000
3 가구 6,163,000
4 가구 7,514,000

※ 실제 소득 기준은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3) 건강 상태 기준

  • 안과 전문의에게 백내장 진단을 받은 자
  • 시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는 경우

 

3. 지원 혜택 및 수술비 보조 금액

(1) 수술비 지원 범위

  • 일반 백내장 수술비: 최대 150만 원 지원
  •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 최대 250만 원까지 지원 (단, 일부 지역 한정)
  • 검사비 및 입원비: 일부 지자체에서 추가 지원 가능

(2) 본인 부담금 여부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예: 고급 다초점 렌즈)은 일부 본인 부담 필요
  • 지자체별로 차등 적용될 수 있음

 

4. 신청 방법 및 절차

(1) 온라인 신청

  • 보건복지부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카카오, 네이버 등) 로그인 후 신청 가능

(2) 오프라인 신청

  • 거주지 관할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노인복지관 또는 사회복지기관에서도 접수 가능

(3) 신청 서류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료 납부 확인서
  • 소득 증빙자료 (급여 명세서, 연금 수령 내역 등)
  • 안과 전문의의 백내장 진단서
  • 병원 진료기록 및 수술 계획서 (필요 시 제출)

 

5. 신청 기간 및 유의사항

(1) 신청 기간

  • 2025년 3월 1일 ~ 예산 소진 시까지 (선착순 지원)

(2) 유의사항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 필수
  • 수술비 지원을 받은 후에는 반드시 수술 완료 보고서 제출
  • 허위 신청 시 지원금 환수 조치 가능
  • 일부 지자체에서는 사전 건강검진 후 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음

 

6. 지역별 추가 지원 사항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백내장 수술 외에도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 서울시: 저소득층 노인 대상 검안 및 수술비 전액 지원
  • 경기도: 기초연금 수급자 대상 최대 200만 원 지원
  • 부산광역시: 수술 후 재활 프로그램 무료 제공
  • 대전광역시: 안과 검진 및 백내장 예방교육 지원

지역별로 지원 금액과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지 보건소에 문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마무리

백내장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수록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2025년 노인 백내장 수술비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시력을 회복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주요 내용 정리

  • 대상: 만 60세 이상, 중위소득 120% 이하
  • 지원 금액: 최대 250만 원까지 지원 가능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3월 1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수술비 지원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